국토교통부에서 22년 6월 30일자로 내놓은 정책인데요. 윤정부 출범 이후 부동산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많았는데요. 차근차근 규제 완화가 진행되는 것 같아요. Q. 투기과열지구/조정지역 해제가 된 지역은 무슨 근거로 지정이 되었을까? 궁금하시죠? A. 주택가격 상승폭이 비교적 낮고, 미분양 증가세가 뚜렷한 지방권이라 판단되는 곳이라고 합니다. 금리인상 및 경기침체 우려, 주택가격 급등에 따른 피로감 등으로 매수세가 위축되면서 최근 주택가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취하고 있지만, 현재 국지적으로 집값 과열의 여파가 잔존하며 주거 선호지역 및 일부 비규제지역 등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되는 등 시장상황이 매우 예민하다고 분석했다고 합니다. 당분간 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되고 DSR 3단계 시행 등으로 대출 규제도..
최근 가로주택정비사업과 리모델링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얼어붙은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 현상, 그와 함께 여전한 부동산 규제로 인해 건설사 입장에서는 가로주택정비사업이나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가로주택정비사업이 도대체 뭘까? 궁금해서 알아보고자 들어온 분들이 많을 거라 하여 개념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일종의 소형 재개발 사업으로 치부되는데요. 노후,불량 건축물이 밀집된 가로구역에서 종전의 가로를 유지하면서 소규모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이 가로주택정비사업입니다. 위의 표를 보시면 알수 있듯이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시간이 오래 소요됩니다. 안전진단과 추진위원회의 과정이 있는데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이 과정을 건너뛰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사업의 기간이 현저하게 줄어듭니다. 재개발,재..
나라별 수도 모음 헷갈리기 쉬운 국가 포함 44개국 정리해봤음! 기본 상식이지만 언급하지 않으면 잊혀지는 나라별 수도 다시 한 번 복습해봐요 ^^ 국가 수도 캐나다 오타와 브라질 브라질리아 영국 런던 미국 워싱턴 중국 베이징 호주 캔버라 스위스 베른 러시아 모스크바 프랑스 파리 일본 도쿄 독일 베를린 이탈리아 로마 핀란드 헬싱키 폴란드 바르샤바 노르웨이 오슬로 스웨덴 스톡홀름 몽골 울란바토르 베트남 하노이 레바논 베이루트 불가리아 소피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쿠바 아바나 요르단 암만 이집트 카이로 방글라데시 다카 페루 리마 포르투갈 리스본 헝가리 부다페스트 가나 아크라 과테말라 과테말라시티 기니비사우 비사우 라트비아 리가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르완다 키갈리 마다가스카르 안타나나리보 모로코 라바트 미얀마..